- 사적 소유 언론은 그 자체가 하나의 이익집단이다. 사회적 공기가 아니다. 올드미디어에 공정보도 호소하는 헛짓거리 그만해야. 사적 소유 언론은 중세말 토지귀족과 비슷
- 사적 소유 언론은 "중세기말 토지귀족과 비슷한 특권계급"
-----------------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사적 소유 언론은 그 자체가 하나의 이익집단이다. 사회적 공기가 아니다”라고 주장.
사적 소유 언론은 구조적으로 공정할 수 없으니 처음부터 공정성을 기대하지 말자는 의미.
3일 MBC '100분토론'에 출연한 유시민 전 이사장은 본방송이 끝나고 이어진 '유튜브 100분 토론'에서 위와 같은 주장과 함께
“이제는 올드미디어에 매달려 공정선거보도 촉구하며 애걸복걸하고 호소하는 헛짓거리를 그만하자”고도 주장했다.
이날 '100분토론' 사회자 정준희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는 “선거 시기 유권자와 정치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가 미디어”라면서 “지금의 언론구조나 미디어구조가 선거 시기 민주적 기능을 하는데 있어 충분했는지”를 물었다.
이에 대해 유시민 전 이사장은
“우리 언론은 90대10의 비율로 친윤이라고 본다”
“언론에 대해서는 언론개혁이 필요하다고 했고 '100분 토론' 진행할 때 언론개혁 시리즈도 했다. 결론은 소용없다, 안된다, 거기에 에너지를 쓰지 않는 게 좋겠다였다.
유 전 이사장은 “공영방송을 제외하고 민간자본 주식회사 형태로 조직되어 있는 언론은 사적 소유 형태로 공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사회적으로) 공적 역할을 인정하는데 소유형태는 사적 소유다. 이윤추구가 목적이다”
“지금 우리 민영언론, 사적 소유 언론은 그 자체가 하나의 이익집단이다. 사회적 공기가 아니다. (나는) 그렇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그냥 저것(언론)은 저 회사를 소유한 사람들과 거기에서 밥을 먹고 사는 사람들이 자기들을 위해 운영하는 기업이다. 부가적으로 조금 이윤추구에 도움이 될 때는 공적인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오늘날 대다수 언론을 가리켜 “중세시기 말 토지 귀족과 비슷한 특권계급”이라고 평가.
유시민 전 이사장은
“왜 언론이 이러지 저러지 이런 생각해봤자 나만 괴롭다. 토지 귀족들은 원래 기득권을 옹호하기 위해 몸부림친다”
“우리 사회 가장 거대한 낡은 기득권 세력 중 하나가 언론산업”이다.
“중세 토지귀족을 교화하려고 해봐야 소용 없다. 결국 권력 관계기 때문”
“기술변화가 이 문제를 해결할 거다. 뉴미디어로 우리가 해나갈 수 있다.
이제는 올드미디어에 매달려 공정선거보도 촉구하며 애걸복걸하고 호소하는 헛짓거리를 그만하자. 우리가 각자의 미디어를 만들자. 스티브 잡스 선생 덕분에 가능해졌다”.
2022. 03. 04. 11:28
'정치경제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력 대선후보들에게서 연락이 왔습니다(2) / 김누리 교수 / 2021. 9.29] (0) | 2022.01.04 |
---|---|
[새로운 도약, 라이피즘(Lifism) / 김누리교수 / 2020.08.13] (0) | 2022.01.02 |
탈원전 비판에 대하여 (0) | 2021.08.17 |
단식 중에는 에너지원이 외부에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자기의 생체 내에 있는 근육이나 내장의 영양분을 구석구석에서 끄집어낸다. 인체의 여러 독소까지 끌어낸다 (0) | 2021.05.01 |
물질적 욕망이 병을 부르고 있다 (0) | 2021.03.15 |